독도소개

육상생태계

식물

독도에는 얕은 표층, 심한 바람과 염분 등 혹한 환경에 적응한 식물상이 발견된다. 독도의 식생은 각종 생물의 서식처·산란처·피난처 기능을 하며 육상과 해양의 생물 간 연관성을 연구하는 데도 중요한 표본 역할을 한다. 특히 독도는 식물들의 유입 역사가 짧아 식물 생태계의 성숙에 필요한 시간이 충분히 경과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식물 군집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발전 과정을 관찰할 수 있어, 생태학적 연구 가치가 높다. 독도는 위치상 아한대 남단 해역에 속해 있지만, 해류의 영향과 비교적 온난다습한 날씨 때문에 그 식물상이 아열대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또한 울릉도보다 생성 시기가 150만 년 이상 빨라 울릉도와는 다른 경로로 식물이 유입되어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도깨비고비·초종용 등의 자생식물과 왕호장근·번행초·개밀 등 귀화식물이 독도의 식생을 구성하고 있다. 비관속식물인 겉나무가지이끼·버들이끼·억새이끼·두끝벼슬이끼 등 독도에 출현한 선태식물은 8종으로 확인되었다. 토양층이 없는 건조한 해안절벽 지대에는 돌채송화 군락, 왕김의털 군락, 해국 군락, 갯제비쑥 군락이 분포하는 반면 습기가 있는 바위틈에는 독도의 유일한 양치식물인 도깨비고비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완경사지에는 개밀-돌피 군락이 우점하고 있는 가운데 토양 발달 정도와 인위적 간섭 정도에 따라 갯까치수염 군락, 술패랭이꽃 군락, 참억새 군락, 번행초 군락, 왕호장근 군락, 참나리 군락 등이 분포한다. 이들 군락 외에도 독도의 등대 서쪽 완경사지와 서도의 주민 숙소에서 물골로 이어지는 완경사지에는 섬괴불나무·사철나무·보리밥나무·동백나무 등의 식재목 군락이 분포하고 있다.

땅 채송화 Sedum oryzifolium Makino, 갯괴불주머니 Corydalis platycarpa (Maxim.) Makino, 깻까치수염 Lysimachia mauritiana Lam.

곤충

독도에는 당도가 높은 과실을 맺는 식물이 없기에 초본식물의 잎이나 줄기에서 먹이를 얻는 매미목과 파리목 등의 곤충이 서식하고 있다. 주요 종으로는 쟈바꽃등에, 긴뺨모래거저리, 해변애녹슬은방아벌레, 모래섶벌레, 민집게벌레, 애긴노린재, 애꽃노린재, 애먼지벌레, 배검은꼬마개미, 독도장님노린재, 섬땅방아벌레, 초록다홍알락매미충, 명아주나무이 등이 있다. 나비목(호랑나비, 작은멋쟁이나비 등)이나 잠자리목(왕잠자리, 된장잠자리 등)의 비례성 곤충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이는 태풍 등의 영향을 받아 울릉도나 일본에서 날려 온 것으로 추정된다.

조류

독도는 우리나라 주변을 지나는 철새뿐 아니라 먼 거리를 지나가는 나그네새의 중간 기착지이자 태풍과 폭우 등 불규칙한 기상 조건에서 조류의 피난처 역할을 하고 있어 조류생태학적 가치가 높은 섬이다. 독도에서 번식하는 대표적인 조류로는 괭이갈매기와 바다제비가 있다. 괭이갈매기는 4월에서 6월 사이에 8천~1만여 마리가 번식을 위하여 독도를 찾고 있다. 바다제비의 번식기는 7월에서 8월 사이로 부드러운 흙이 있는 경사면에 굴을 파고 산란한다. 이 밖에도 독도에서 번식하는 조류로는 슴새·뿔쇠오리·매 등이 있으며 나그네새로는 진홍가슴·흰배멧새와 유리딱새 등이 관찰되었다.

괭이갈매기black-tailed gull

독도는 우리나라 주변을 지나는 철새 뿐 아니라 먼 거리를 지나가는 나그네새의 중간 기착지, 태풍과 폭우 등 불규칙한 기상조건에서 조류의 피난처 역할을 하는 섬으로 조류생태학적 가치 가 높게 평가되어 왔다.

독도에서 번식하는 대표적인 조류로는 괭이갈매기와 바다제비가 있다. 괭이갈매기는 4월에서 6월 사이 8,000~10,000여 마리가 번식을 위하여 독도를 찾고 있다. 바다제비의 번식기는 7월에서 8월 사이로 부드러운 흙이 있는 경사면에 굴을 파고 산란한다. 이 밖에도 독도에서 번식하는 조류로는 슴새, 뿔쇠오리, 매 등이 있으며, 나그네새로는 진홍가슴, 흰배멧새, 유리딱새 등이 관찰되었다.

육상 포유류

독도에 자생하는 육상 포유류는 없다. 그러나 사람이 들여온 포유류로 현재 경비대에서 기르는 우리나라 고유종인 삽살개가 유일하다.

양서파충류

독도에서 양서류와 파충류가 발견되었다는 기록은 아직 없다.

문의사항
  • 담당부서해양빅데이터·AI센터
  • 연락처051-664-3788
홈페이지 개선의견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