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사항
- 담당부서해양빅데이터·AI센터
- 연락처051-664-3788
독도 연안 해역은 높은 생물다양성 지역으로써, 최근 기후 및 환경변화에 따라 아열대 종의 출현이 증가하는 곳이기도 하다. 동도와 서도를 중심으로 반경 10 km 지역은 평균 130 m 이내의 평평한 수심을 유지하고 있으나, 반경 10 km를 벗어나면 수심이 급격히 증가한다.
독도 연안 해역의 퇴적물은 모래, 자갈 등의 조립질[1] 입자로 구성되며, 펄(pearl) 퇴적 환경에 비해 낮은 유기물[2] 함량을 보인다. 그러므로 저서생태계에 사는 저서동물은[3] 퇴적물 내의 낮은 유기물에서 공급되는 먹이보다 수층에서 공급되는 먹이를 주로 이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지금까지 독도 연안 해역의 저서동물 연구 대부분은 수심 30 m 이내의 암반 지역에 약 500 여종 이상의 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아직까지 독도 연안 해역의 연성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4] 종 다양성 및 종 특성에 대한 정보가 없다. 이에 따라 독도 연안 해역의 가을철 대형저서동물의 종 다양성과 종 특성을 파악하였다.
독도 연안 해역에서 가을철 동안에는 총 177종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주요 분류군별 종수는 절지동물문 갑각류가 52종(29%), 연체동물이 50종(28%), 환형동물문 다모류가 47종(27%), 기타 분류군이 20종(11%), 극피동물이 8종(5%) 순으로 나타났다.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1,566 개체/㎡ 이었으며, 갑각류의 서식밀도는 46%로 가장 높았으며, 다모류(28%), 연체동물(13%) 순으로 나타났다. 대형저서동물의 생체량은 평균 76.9 g/㎡ 이었으며, 종다양도 지수는 평균 2.9로 나타났고 정점 간 2.0 ~ 3.3의 분포를 보였다. 독도 연안 해역의 대형저서동물의 종수는 동해 북부 해역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동해 남부 해역과는 평균 내에 위치하였다. 반면,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동해 남부 및 북부 해역 사이엔 큰 차이가 없었다. 독도 연안 해역의 종 다양성 지수는 국내의 2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독도 연안 해역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우점종(> 2%)은[6] 총 13종이었으며, 갑각강의 단각류 Melita denticulata가 전체의 16.5%를 차지하여 가장 높게 출현하였다. 다음으로, 단각류 Melita shimizui(5.5%), 다모류 곤봉발갯지렁이(Salvatoria clavata)(5.4%), 이매패류 밤색무늬조개(Glycymeris aspersa)(4.4%), 극피동물 거미불가사리류 줄딱지거미불가사리(Ophionereis dubia)(4.3%), 단각류 일본비블리스안경옆새우(Byblis japonicus)(3.9%), 다모류 단강모염주발갯지렁이(Syllis amica)(3.3%), 단각류 꼬마예쁜이옆새우(Stenothoe valida)(2.9%) 순으로 출현하였다.
여름철 동안 가장 높게 출현한 Melita denticulata는 모든 정점에서 출현하였으나, 두 번째로 높게 출현한 Melita shimizui는 정점9와 정점10에서만 출현하였고, 곤봉발갯지렁이(Salvatoria clavata)는 정점8, 정점9를 제외한 정점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그림 4).
조사지역의 평균 수심은 70.9 m 이었고, 여름철 조사지역의 저층 수온은 평균 13.5℃ 였으며, 평균 저층 염분도는 33.6 psu, 저층 용존산소량은 평균 11.1 mg/l을 나타냈다. 조사지역의 퇴적물 입도는 -3.2 ~ 1.8 ø 사이였으며, 평균입도는 -0.4 ø로 모래와 자갈이 섞인 조립질의 퇴적상을 나타냈다. 퇴적물을 주요 먹이원으로 이용하는 퇴적물 식자의[5] 주요 먹이원인 퇴적물 속의 총 유기탄소량(TOC)은 0.14 ~ 0.84% 범위가 나타났으며 평균 TOC는 0.4%로 나타났다.
독도 연안 해역에서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조성은 동해 연안 해역과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독도 연안 해역의 퇴적물 조성이 동해 연안에 비해 굵은 모래, 산호 및 패각 껍질 등의 입자가 굵고 퇴적물 내의 유기물 함량이 낮은 것과 연관이 높다. 또한 퇴적물보다는 수층에서 공급되는 먹이를 선호하는 종들이 상대적으로 독도 연안 해역에서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용어설명
1.네이버 해양용어사전
2.위키백과
3.해양과학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