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체 특성
동해의 형성과 독도 및 주변 화산체 특성
동해는 마이오세[1] 이후 분지 형성과 함께 퇴적된 매우 두꺼운 신생대 제 3기 지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대륙지각을 이루고 있는 한반도와 해양 화산섬인 일본 열도 사이에서 주요 수심대 약 2,000m에 달하는 대양적 성격도 보이고 있고,
한국, 일본, 러시아로 둘러싸여 있다(Chough et al., 2000; Hirata et al., 1989; Kim et al., 1994) (그림 1).
본 연구지역인 울릉분지는 동해 남서부에 위치하며, 울릉도, 독도 및 주변해산(안용복해산, 심흥택해산, 이사부해산)이 함께 발달한 것이 특징적이다(그림 2).
동해 주요 화산체 중 하나인 울릉도는 높이 약 3,000 m, 장경 약 35 km
(수심 2,000 m 해저면 기준)에 이르는 거대한 규모를 이루는 섬이다. 울릉도의 하부 해저면 주변에는 소규모의 기생화산이 분포하고 있다.
화산체 사면부는 25 ~ 35°의 급경사면을 보이며 불규칙한 돌출지형과 해저곡들이 발달해있다(그림 3).
안용복해산의 사면부는 울릉도 해저 사면부에 비해 완만한 15 ~ 25°의 경사도를 보이며,
북동쪽과 남서쪽 사면에서는 대칭의 측면 관입대(Flank Rift Zone)가 발달해 있는 특징을 보인다(강 등, 2006; Vogt and Smoot, 1984)(그림 4).
독도화산체 기저부 동남쪽 해역의 수심 약 800 m 해저골(vally)을 경계로 남동쪽에는 심흥택해산이 위치하고 있다. 두 화산체 모두 정상부는 평탄한 평정해산(기요, guyot)의[2] 특징을 보인다.
독도화산체와 심흥택해산의 사면부는 20 ~ 35°의 경사도로 화산체 사면이 발달해 있고, 화산체 정상부는 약 5° 이내에서 평탄하게 형성된 지형적 특징을 보인다(그림 5).
이사부해산은 수심 약 300 m 범위까지 5° 이내의 평탄한 정상부가 발달하여 해산 기저부에 이르는 1,000 m 범위까지
사면을 따라 20 ~ 35°의 경사면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인다(그림 6).
독도 주변 해역 해저화산암체 암석 분석
울릉도 해저 북동사면의 2개 지점에서 채취한 화산암체는 대체로 조면암으로서[3], 방사상의 절리를 보이며 냉각된 표면조직과 함께 변질 받은 양상을 보였다(그림 7).
안용복해산은 정상부가 보존된 원추 형태의 화산으로써, 정상부의 북서쪽으로 약 600 m 수심에서 채취된 암석은 대부분 현무암의 특성을 나타내지만 대부분 변질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그림 8).
독도의 동남쪽 사면부와 이어진 심흥택해산 내 암석 채취는 남쪽 사면부에서 수행하였다. 채취한 기반암의 표면은 점도가 높은 퇴적물로 피복되어 있고, 변질 받은 시료와 함께 상대적으로 신선한 조면암류 내지 안산암류가[4] 확인되었다(그림 9).
용어설명
- [1] 마이오세 (Miocene Epoch) - 약 2,600만 년 전부터 700만 년 전까지로, 신생대 제 3기 초에 해당하는 지질시대이다. 초, 중, 말기 3개로 구분한다. 코끼리, 말, 코뿔소의 조상이 번성했고, 유공충과 조개류 등이 특징적이며, 현세와 유사한 고생물 화석이 많다. 석탄, 석유 등 지하자원의 주요 산출 층이다.
- [2] 평정해산 (tablemounts) - 수심 1000 m 이상의 깊은 바다 속에 있는 꼭대기가 평평한 산 모양의 해저지형. 기요(guyot)라고도 한다. 해수면 위로 솟아오르거나 해수면 가까이에 올라온 화산섬(해산)이 오랜 시간 동안 해파에 의한 침식작용을 받아 정상부가 평평해진 후 다시 해수면 아래로 침강하여 생긴다.
- [3] 조면암 (trachyte) - 화학조성으로 보아 섬장암에 해당하는 화산암으로 연한 청록색이나 회색을 띠지만 쉽게 풍화하여 황갈색이나 회백색으로 변한다. 흰색·검은색·회색을 띠며, 감촉이 까칠까칠하고 얼룩무늬가 있다. 현무암과 달리 구멍이 거의 없어서 비가 올 때 쉽게 물이 스며들지 않는다.
- [4] 안산암 (Andesite) - 주 구성광물은 사장석, 각섬석, 휘석이고 이 광물들이 주로 반정으로 나타난다. 부 구성광물은 인회석, 저어콘, 자철석, 흑운모, 석류석 등이고 주로 석기를 이룬다. 중성 마그마가 지표에 분출하거나 지표 부근에 관입하여 빨리 냉각되면서 결정되었기 때문에 조암 광물의 크기는 맨눈으로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다.
- Chough, S.K., Lee, H.J., and Yoon, S.H., 2000. Marine Geology of Korean Seas, Elsevier, New York, p. 131.
- Hirata, N., Tokuyama, H., & Chung, T. W., 1989. An anomalously thick layering of the crust of the Yamato Basin, southeastern Sea of Japan: the final stage of back-arc spreading. Tectonophysics, 165(1-4), 303-314.
- Kim, H. J., Park, C. H., Hong, J. K., Jou, H. T., Chung, T. W., Zhigulef, V., & Anosov, G. I., 1994. A seismic experiment in the Ulleung basin (Tsushima basin), Southwestern Japan sea (East sea of Kore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1(18), 1975-1978.
- 강무희, 김진호, 공기수, 김경오, 한현철, 2006. 독도주변해역(안용복해산)의 지구물라학적 특성, 충남대학교 해양연구소 심포지움, v. 14, n. 2006, p.25-48.
- Vogt, P. R., & Smoot, N. C., 1984. The Geisha Guyots: Multibeam bathymetry and morphometric interpreta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89(B13), 11085-11107.
문의사항
- 담당부서해양빅데이터센터
- 연락처051-664-3788